KTX오송역
KTX오송역

[충북메이커스 데스크 진단=경철수 기자]KTX오송역명 개명 시민위원회가 지난 11일 청주시청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역명 개정을 반대하는 오송 주민들과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더 수렴하기 위해 행정절차를 잠정 보류하겠다는 입장표명 이후 정중동에 들어갔다.

그렇지 않아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오송역세권 개발 등 지역주민 정주여건 개선사업과 병행한다는 이유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진행해온 터라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오송역명 개정에 대한 필요성의 공감대가 지역에서 다시금 불거진 데는 세종시 정치권의 KTX세종역 신설공약 현실화를 위한 ‘불 지피기’가 본격화 됐기 때문이었다. 세종시가 지역구인 7선의 이해찬 국회의원이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대표가 되면서 위기감은 더했다.

여기에 설훈 최고위원과 양승조 충남도지사의 세종역 필요성 발언은 충북도민들을 더욱 자극했다. 아니 충북도민들의 위기감을 가중시켰다.

세종시는 충청권상생발전의 기틀위에서 출범한 특별시이다. 충북도도 일부의 땅을 떼어주며 지분을 갖고 있다. 이런 주주의 의견은 아랑곳하지 않고 연일 세종시 정치권의 ‘세종역 신설’등 지역발전을 위한 ‘마이웨이’ 선언은 충북의 위기감을 가중시키기에 충분했다.

충청권 공조를 저버리는 이 같은 발언은 세종시 관문역으로서 약속받은 오송역의 위상마저 흔들고 있다. 세종역이 생기면 대한민국에서 유일무이한 KTX호남선과 경부선의 환승역인 오송역의 존재감마저 위협받게 된다.

논란이 되자 양승조 충남지사가 ‘오송역에 피해를 주지 않고 충청권 공조를 깨지 않는 선’이라고 해명하고 나섰지만 그의 전제조건을 충족시킬만한 대안은 있을 수 없다. 이미 오송역과 신설하려는 세종역과의 거리는 20㎞에 불과해 KTX를 저속철로 전락시키고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성적인 셈법으로 ‘불가하다’고 나온 세종역 신설을 세종시 정치권이 ‘정치력’으로 되살리려 하고 있다. 이 같은 위기감에서 나온 것이 바로 오송역의 대외적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청주오송역’의 역명 개정 움직임이었다.

사전 여론조사에서 청주시민 75.6%, 오송주민 79.7%가 ‘청주오송역’ 역명 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런데 이 여론조사 결과가 ‘조작논란’에 휘말리면서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만 같았던 역명 개정 움직임에 제동이 걸렸다.

사실 여론조사기관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장단’으로부터 설문지를 대신 받지만 않았어도 이런 일은 불거지지 않았을 것이다. 일각에선 오송이란 지명이 빠지는 것도 아니고 ‘청주오송역’으로 가겠다는 것인데 오송 주민들의 반대 명분도 약한 상황에서 오히려 역명개정 반대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통상 외부적 위협 요인이 있으면 내부적 결속은 더욱 공고해지는 법이다. 그런데 충북의 작금의 상황은 안팎의 난제에 봉착한 상황이다. 쉽게 갈 수 있는 길을 잔꾀를 부리다 오히려 미궁에 빠진 것은 아닌가 싶다.

정도를 걸었으면 이 같은 일도 없었을 것이다. 생각이 너무 많고 비난이 두려워 꼼수를 부리다 적이 쳐들어오는데 세월을 낚는 형국이 돼 버렸다.

그나마 역명 개명 시민위는 오송읍 정주여건개선사업과 역세권 개발 등 ‘오송바이오밸리’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민·관 거버넌스 구축사업은 당초대로 추진키로 해 불씨는 살려놓은 상황이다.

오송역명 개정에 대한 공감대는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지금 역명개정을 추진하지 못하면 돌이킬 수 없는 ‘빈상’을 마주하게 될 수도 있다.

특히 오송 주민들은 오송이란 역명은 ‘청주오송역’이란 개명과 함께 그대로 유지됨을 만족하고 대승적 차원에서 충북의 미래발전을 위해 함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충북메이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